이음텃밭3 지역사회의 집단행동으로서의 한국과 슬로베이나의 도시텃밭 얼마전 슬로베니아의 유학생에게서 이메일로 문의가 왔었습니다. 이음텃밭의 연구와 관련하여 방문과 함께 인터뷰를 하고 싶다는 내용이었죠. 몇 번 이메일로 연락을 주고받다가 직접만나 유학생(박사과정) 비비와 그가 돕는 교수님의 연구자료를 보게되었습니다. https://casie.splet.arnes.si/urban-gardening-in-south-korea-and-slovenia-as-neighbourhood-collective-action/ 그리고, 흥미로운 이 연구는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와 이음텃밭을 통해 한국에서 도시텃밭을 통한 집단행동에 대해 분석한 내용이었습니다. 찾아보니 보고서 원본이 링크되어 있어서, 그 보고서를 번역하여 공유합니다. [보고서 원본보기] Urban-Gardening-as-Neig.. 2025. 4. 15. 5번째 이음텃밭의 개장식이 있었어요! 2021년에 시작한 생태순환 이음텃밭이 벌써 5번째 해를 맞이했습니다.인천형 공동체 도시텃밭 조성사업이라는 주민참여예산사업으로 시작해 2023년부터 인천시 본예산으로 편성된 이음텃밭은 송도동 28-1번지(국제병원부지)의 유휴지를 활용해 조성한 공동체텃밭입니다. 형식적으로는 시민들의 신청을 받아 텃밭을 부여받고 농사짓는 여느 텃밭들과 같아보이지만, 농사활동과 더불어 자원활동을 통한 기부텃밭운영, 자발적인 소모임활동, 자치활동을 통해 만들어가는 행사와 체험, 교육 등 복합적인 기능을 해오고 있죠. 인천시민들이 참여하고 함께 만들어가는 텃밭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올해도 간단한 시농제의 형식을 빌려 개장식이 진행되었습니다. 풍물소리가 들리니 여기저기에서 밭을 일구던 시민들도 가운데 마당으로 모여들고 올해 .. 2025. 4. 15. [인천 도시농업 견학기] 지금 여기에서 작은 틈바구니를 만들고 하나씩 땅을 일구다. 작년 말 낯선 누군가에서 전화가 왔다. 청주인데 인천의 도시농업활동을 보고 배우고 싶어서 연락을 했다. 우리도 도시농부학교를 하고 싶은데 어떻게 하면 좋을까? 아직 땅도 없고 예산도 없지만 구해보겠다. 도와달라. 일면식없는 분의 거침없는 요구에 살짝은 귀찮음도 있었지만, 이렇게 열성적으로 도시농업을 시작하려고 하는데 도와야겠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도시농부학교 과정을 짜서 보내주고, 강사진까지 추천해서 청주도시농부학교를 열게 되었다. 지난 9월 수료를 하면서 꼭 한 번 인천견학을 오겠다고 하여 잡은 한글날 견학에 청주도시농부학교 수료생들이 함께 결성한 청주도시농업네트워크의 핵심 멤버들이 찾아왔다. 인천을 둘러보고 후기로 남긴 글을 공유한다. (일부 잘못된 정보는 수정 - 편집자) 어제(10.9) 청주도시농.. 2024. 11. 14. 이전 1 다음 반응형